안검하수(눈꺼풀처짐)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윗눈꺼풀이 처지고 눈꺼풀 틈새가 작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눈을 떴을 때 정상적인 윗눈꺼풀은 검은 눈동자 윗부분을 살짝 가리는 위치에 있습니다. 그러나 안검하수가 있는 사람은 윗눈꺼풀이 처져 까만 눈동자를 더 많이 덮게 되며 심한 경우 동공을 가려 앞을잘 볼 수 없게 만듭니다. 안검하수는 한쪽 혹은 양쪽 눈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선천적 눈꺼풀처짐은 출생 당시부터 나타나는 눈꺼풀처짐을 말하며, 태어날 때부터 눈꺼풀올림근의 힘이 약한 경우 해당 합니다.
선천적으로 윗눈꺼풀을 들어올리는 근육의 발달에 이상이 있는 경우로 한쪽 혹은 양쪽 눈 모두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전적으로는 상염색체 우성유전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아무런 유전적인 경향 없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르쿠스건 턱증후군(Marcus-Gunn jaw winking syndrome)은 눈꺼풀처 짐의 특수한 형태로 음식을 먹거나 하품을 하는 등 특이적인 입의 움직임에 따라 처진 눈꺼풀이 올라가는 현상을 보이는 증후군입니 다. 눈꺼풀틈새 소증후군(Blepharophimosis syndrome)은 윗눈 꺼풀이 처지고 양쪽 눈 사이 거리가 멀며 눈꺼풀틈새의 길이가 짧아지고 눈구석주름이 거꾸로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성인기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눈꺼풀처짐은 윗눈꺼풀올림근의 널힘줄(건막)이 나이가 들면서 또는 외상 등의 원인에 의해 약화되어 발생합니다.
눈꺼풀이 처지고 이로 인해 시야의 위쪽이 가려지게 되어 사물을 보려면 눈을 뜨려고 노력을 해야 되므로 금세 피로를 느끼게 됩니 다. 그 외에도 아래와 같은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만성 진행성 외안근마비 △안구가 없는 경우 △뇌신경이 마비된 경우 △호 르너 증후군 △중증근무력증이 있는 경우 △윗눈꺼풀에 종양이 생긴 경우 △윗눈꺼풀에 흉터가 생긴 경우가 있습니다.
치료
눈꺼풀처짐 환자에서 이마근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눈꺼풀을 들어올리는 것을 차단해야 눈꺼풀처짐의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할수 있습니다. 이에 △시력검사 △사시 검사 △굴절이상 검사 △안 구건조증 검사 △눈꺼풀올림근 기능 검사, 눈꺼풀처짐의 정도 측정 △얼음 검사(중증근무력증이 의심되는 경우에서 실시) 등의 검 사를 시행합니다. 눈꺼풀처짐 환자의 치료 방법은 그 원인 질환과 눈꺼풀올림근의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어집니다. 특히 수술을 고려한다면 눈꺼풀올림근의 기능이 좋은지 나쁜지에 따라 사용하는 수술 방법이 달라지게 됩니다.

보존적 치료
선천 눈꺼풀처짐은 수술적 치료가 원칙이지만, 시력에 영향이 없는 상황이라면 만 3~5세까지 기다려 볼 수도 있습니다. 왜냐 하면 아이가 어릴 때는 검사 결과도 정확하지 않고 협조도 잘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수술하기 전까지 눈꺼풀처짐이 있는 눈을 종이테이프로 붙여 올려주어 임시로 그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도 하고, 한쪽 눈에만 눈꺼풀처짐이 있어 약시 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 가림치료 등의 시력 발달을 도와주는 치료를 시행해 볼 수도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눈꺼풀처짐의 수술로 △눈꺼풀올림근 절제술 △이마근걸기술 △결막뮐러근 절제술이 있습니다. 눈꺼풀올림근 절제술은 윗눈꺼 풀올림근의 기능이 어느 정도 남아 있을 때 시행하는 방법으로서 근육을 단축시켜 그 기능을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이마근걸기술은 윗눈꺼풀올림근의 기능이 거의 없거나 아주 미약하게 남아 있는 경우에 시행하며, 이마근을 이용하여 눈꺼풀의 위치를 올리는 방법입니다. 환자의 허벅지 근육에서 근막을 떼어 이식하는 방법과 실리콘 등 합성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결막뮐러근 절제술은 눈꺼풀올림근의 기능이 좋은, 경도의 눈꺼풀처짐의 교정에 사용합니다. 수술 전 페닐에프린을 점안 후 눈꺼풀이 올라가는 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대상 환자가 제한적인 방법입니다.
출처: 질병관리청 국가건강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