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는 보통 소아시기에만 발생한다고 생각하지만, 연구 결과 소아시기 때 질환을 겪었다면 약 70%가 성인기에서도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ADHD의 경우 스스로 자각하기가 쉽지 않아 치료를 등한시 하는데, 그대로 두면 우울·공황장애 등 공존질환으로 확대될 수 있다.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는 신경발달 질환의 일종으로 뇌의 특정 부위들의 회로 및 발달 이상으로 생기는 질환이다. 보통 소아기에 시작돼 학령기부터 증상이 눈에 띄게 된다. 이후 성인기에 이르면서 증상이 경감되는 편이다.

ADHD의 증상은 크게 주의력 결핍, 충동성, 과잉행동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충동성 및 과잉행동은 가만히 있지 못하고 꼼지락거리거나 조용히 있어야 하는 장소나 상황에서 그러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주의력 결핍은 어떤 일에 집중하지 못하고 주의력이 부족한 증상이다. 소아ADHD와 성인ADHD와 질환적인 차이는 없다. 성인기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소실되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를 성인ADHD라고 한다.

 

우울·불안장애 등으로 이어져 위험

ADHD는 목숨에 영향을 주는 질병은 아니지만 생활 전반에 걸쳐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ADHD의 치료가 중요한 이유는 2차적인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충동성이 높고 주의력이 저하되면서 업무 또는 목표에 있어 높은 성취도를 얻기가 힘들고, 대인관계와 같은 사회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우울장애·불안장애·양극성장애·충동조절 장애와 같은 공존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ADHD 치료는 ADHD 증상으로 인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집중력을 치료 통해서 가용성을 높이도록 한다. 마냥 기다리면서 좋아지겠지 하다 보면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다. 전문의 상담을 통해서 치료와 지속적인 관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인지행동치료 병행해야

ADHD 치료는 약물학적 치료와 비약물학적치료로 나눌 수 있다. 약물치료의 경우 메칠페니데이트, 아토목세틴 계통의 약물을 사용한다. 비약물적치료법의 경우 인지행동 치료 등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두 가지의 치료법은 선택해서 할 수 있는 치료법은 아니며 서로 맡은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함께 병행하면서 치료하는 것이 좋다.

참고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저작권자 © 숙박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